본문 바로가기
건강

암 환자를 위로하는 말, 해도 되는 말 vs 하면 안 되는 말

by 스백이 2025. 3. 27.
반응형

암 환자를 위로하는 말, 해도 되는 말 vs 하면 안 되는 말

 

가까운 사람이 암 진단을 받았을 때,
어떤 말을 해야 할지 고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진심으로 위로하고 싶은 마음과 달리,
무심코 던진 말 한마디가 상처가 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암 환자를 위로할 때 도움이 되는 말과
오히려 피해야 할 말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해도 되는 말 (위로와 공감을 전하는 표현)

“내가 네 입장이었어도 정말 무서울 것 같아.”

환자의 감정을 인정해주고 공감하는 말입니다.
“괜찮아”보다 “그럴 수 있어”라는 말이 위로가 됩니다.

“무슨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 말해줘.”

진심 어린 도움의 의사를 표현하는 말.
무조건 도와주겠다는 약속보단, 부담 없이 말할 수 있는 여지를 줍니다.

“지금 이 순간도 충분히 잘해내고 있어.”

치료 과정에서 스스로를 자책하는 환자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이 됩니다.

‘넌 강하니까 이겨낼 거야’보다 ‘지금도 충분하다’는 말이 더 따뜻합니다.

“함께 있어줄게.”

조언보다 중요한 것은 존재 그 자체.
말보다 ‘곁에 있는 사람’이 큰 힘이 됩니다.

“어떤 감정이든 괜찮아.”

분노, 슬픔, 두려움 모두 정상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말.
감정을 억누르지 않도록 도와주는 공감의 표현입니다.

반응형

2. 하면 안 되는 말 (의도와 다르게 상처가 되는 표현)

“다 잘 될 거야, 걱정 마.”

긍정적인 말처럼 들리지만,
환자의 불안을 억지로 눌러버리는 말이 될 수 있습니다.
현실을 외면하게 만들고, 진짜 감정에 공감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줍니다.

“나 아는 누구도 암 걸렸는데 멀쩡하더라.”

개인적인 사례를 일반화하거나 비교하는 말은 피해야 합니다.
환자의 고통을 가볍게 여기는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힘내!”

너무 자주 쓰이지만 때론 피로감을 주는 말입니다.
‘힘내’라는 말이 부담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건 다 마음먹기에 달렸어.”

병을 정신력으로 이겨내야 한다는 식의 말은 환자를 죄책감에 빠뜨릴 수 있습니다.

“그래도 암 중에선 그나마 낫잖아.”

상대적인 위로는 오히려 상처가 될 수 있습니다.
고통의 경중을 비교하지 마세요.

 

특히 갑상선암은 착한암이다 라는 말을 조심하세요

세상에 착한암이 어디있습니까.

반응형

3. 진심을 전하고 싶을 때 기억할 것들

위로는 ‘무엇을 말할까’보다 ‘어떻게 들어줄까’가 더 중요합니다.
환자가 말을 꺼낼 때까지 기다리는 것도 존중의 한 형태입니다.
어색해도 괜찮습니다. 진심은 완벽한 말보다 태도에서 전해집니다.



암 환자를 위로할 때는 정답이 있는 말보다,
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려는 태도가 더 중요합니다.
무심코 던진 말이 상처가 될 수 있고, 한마디의 공감이 오래도록 힘이 될 수 있습니다.

 

그 사람의 입장에서 한 걸음 더 다가가는 말, 그것이 진짜 위로입니다.

 

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