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정부의 ‘한국형 공기정화기’ 도입... 미세먼지에 효과가 있을까?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9. 3. 10.
반응형


정부에서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 대책으로 내놓은 공기정화시설 설치 계획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전 사례들을 보면, 해외에서 시도된 공기정화시설도 저감 효과는 미흡했는데요. 세계 최대 규모인 중국 시안의 높이 60m 초대형 공기정화탑은 근처 10안에서 PM2.5 농도를 15% 정도 줄이는 효과가 있었다고 하나, 시설이 차지하는 면적이 축구장 절반이어서 도심 설치가 어려운 데다 처리 용량도 시간당 40로 실질적인 효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도심에 맞는 사례 중에서는 네덜란드 디자이너 단 로세하르데의 스모그 프리 타워(Smog free tower)’가 있는데, 높이 7m의 타워가 정전기로 공기 중에 먼지를 잡아낸 뒤 걸러내서 맑은 공기를 배출하는 원리죠.

한 기술 검증 결과에 따르면, 개방된 공간의 바람이 불지 않는 조건에서 반경 10m 범위의 미세먼지(PM10)45%, PM2.525%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전기주전자 한 대 수준의 전기(1170W)를 소비해 시간당 3의 공기를 걸러낼 수 있는 것이죠. 공기 정화 범위의 높이도 사람키인 1.8m 정도이며, 실제 야외에서 바람까지 불 경우 효과는 더 떨어진다고 하네요.

 

10일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5~12월 도심 미세먼지 정화설비 개발 공모사업을 실시하고, 사업을 통해 만든 미세먼지 제거 시설을 학교, 공공건물 옥상, 지하철 환풍구 등 도심 빈 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처리 용량은 시간당 40이상이며, 크기는 소형으로 권장했다. 주변 초미세먼지(PM2.5)70% 이상 줄이는 것이 개발 목표!!



대당 설치 비용은 1~2억원 ㄷㄷㄷ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전문가 검토에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형 공기정화기를 상용화한다면 해외 수출을 통해 국익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는데... 과연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될지 궁금합니다.

 

환경부에선 한국형도심 공기청정기를 새로 만드는 것이라 앞으로 사업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지난 1월에도 미세먼지로 여론이 들끓자 갑작스럽게 미세먼지 저감 효과 분석을 추가해 실시한 인공강우 실험처럼 보여주기에 그칠 것이라는 지적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환경단체 환경정의는 성명을 통해 여론 눈치를 보는 보여주기식 대책은 그만해야 한다면서 석탄발전, 노후경유차 등 국내 발생원부터 사회적 합의를 통해 일상적 관리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