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 우리나라 급발진 인정 사례

by 스백이 2024. 7. 2.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나라 급발진 인정 사례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차량 급발진 의심 사례는
주기적으로 뉴스와 언론에 보도되곤 합니다.

 

급발진이란?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갑작스럽게 가속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엑셀을 밟지 않았는데, 엑셀을 밟은 것 처럼 튀어나가는 것입니다.

 

몇 가지 주요 급발진 의심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대한민국 급발진 의심 사례:

2016년 부산 싼타페 급발진 의심 사고
2019년 2월 23일 경기도 양주시 그랜저TG 급발진 의심 사고
2021년 5월 30일 대구 코나 일렉트릭 급발진 의심 사고
2021년 6월 21일 강화군 티볼리 급발진 의심 사고
2022년 12월 6일 강릉 티볼리 에어 급발진 의심 사고
2023년 6월 19일 수원 EV6 택시 급발진 의심 사고
2023년 9월 15일 대구 아이오닉 5 택시 급발진 의심 사고
2023년 10월 25일 서울 용산구 S클래스 급발진 의심 사고
2024년 3월 24일 부산 일렉시티 시내버스 급발진 의심 사고
2024년 4월 17일 경남 투싼 급발진 의심 사고
2024년 7월 1일 서울 중구 시청역 급발진 의심 사고


급발진이 아닌 것으로 밝혀진 사례:

2013년 3월 4일 부산 그랜저 XG 추락 사고
2014년 2월 25일 신라호텔 쏘나타 택시 돌진 사고
2017년 7월 18일 강남역 제네시스 DH 돌진 사고
2018년 7월 10일 김해공항 320d 돌진 사고
2018년 7월 14일 부산 SM5 돌진 사고
2019년 6월 13일 김해공항 K5 택시 돌진 사고
2020년 6월 7일 경부고속도로 레이 급가속 증상
2020년 10월 29일 판교 S60 돌진 사고
2020년 12월 9일 한남동 모델 X 돌진 사고
2021년 12월 11일 프랑스 파리 모델 3 택시 돌진 사고
2021년 12월 22일 부산 그랜저 TG 돌진 사고
2021년 12월 30일 부산 SM5 택시 추락 사고
2022년 3월 30일 부산 투싼 돌진 사고
2022년 10월 1일 순천 아이오닉 5 택시 돌진 사고
2022년 11월 5일 중국 광둥성 모델 Y 돌진 사고
2022년 12월 9일 대구 EV6 14중 연쇄추돌 사고
2023년 3월 20일 부산 셀토스 돌진 사고
2023년 8월 5일 창원 아이오닉 6 택시 돌진 사고
2023년 10월 1일 청주 투싼 돌진 사고
2023년 10월 8일 광주 아이오닉 6 택시 돌진 사고
2023년 11월 1일 보성 YF 쏘나타 돌진 사고
2024년 2월 15일 부산 그랜저 GN7 돌진 사고

 

ㄴㅁ위키에 정리된 개수만 봐도
의심되는 사례 11건, 아닌 것으로 밝혀진 건수 22건입니다.
거기에 급발진 인정사례는 없죠ㅠㅠ

 

2023년 기사에 의하면

13년간 급발진 의심사고 766건 중 인정 사례 단 1건도 없다고 합니다.^^

반응형

급발진 의심 사고는 차량의 기계적 결함, 전자적 결함, 운전자 실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면, 제조사와 정부 기관은 철저한 조사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리콜 조치를 취하거나 추가적인 안전 장치를 도입하게 됩니다.
(도요타의 사례가 있습니다.)


각종 커뮤니티글에 의하면,
왜 급발진 사고는 고령층에서 나오느냐는 반응이 자주 언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 급발진 사고가 있을 수 있지만,
운전자의 오조작 및 착각의 가능성도 꽤 많은 부분이라고 합니다.
(사람의 기억은 정확하지 않죠)

그렇다고, 무작정 비난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급발진 증명하는 방법은 현재로선 솔직히 어렵다고 생각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운전자가 액셀을 밟은 것이 아님을 증명해야 하는데,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풋 블랙박스 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굉장히 많습니다.

풋 블랙박스를 달더라도, 전후방 블랙박스와 시간이 정확히 일치해야 하겠죠ㅠㅠ

 

만약 급발진 의심 사례가 발생한다면,
바로 기어를 중립(N)으로 놓고,
온힘을 다해 브레이크를 밟으셔야 합니다.

또한 시동을 끄면, 핸들이 잠기기 때문에 조심하셔야 하는 것을 꼭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

 

정리 + 내생각
솔직히 급발진 사람의 오조작으로 인한 케이스가 많은건 사실이지만,
급발진 사고가 아예 없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인정사례를 찾는 것은 굉장히 어렵습니다.ㅠㅠ

반응형